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아이 자폐 스펙트럼 특징 증상 원인

by 범수염 2025. 4. 17.
반응형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뇌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발달장애로, 주로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 의사소통의 제한, 제한되고 반복적인 행동이 특징입니다. 일반적으로 생후 18개월~3세 사이에 그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증상의 정도는 아이마다 크게 다릅니다.

자폐는 단일한 질병이 아닌 스펙트럼(Spectrum) 개념으로, 정도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매우 경한 수준으로 사회생활이 가능한 경우도 있고, 중증의 경우 일상생활에 상당한 도움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많은 부모가 아이가 말을 늦게 하거나, 또래와 어울리지 못할 때 자폐를 의심하게 되며, 빠른 시기 안에 정확한 이해와 평가가 이루어져야 적절한 중재와 치료가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아이 자폐 증상과 특징 원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자폐 아동의 증상과 특징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크게 사회성 결함, 의사소통 장애, 행동 양식의 반복성 또는 고정성으로 나눠 살펴볼 수 있습니다.

 



1.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

 


눈 맞춤 회피
아이가 사람과 눈을 마주치는 시간이 거의 없거나 시선을 회피합니다.

타인에 대한 관심 부족
부모가 웃거나 말을 걸어도 반응이 없거나 무심한 경우가 많습니다.

또래와의 놀이 미흡
나이 또래 아이들과 어울려 놀지 않으며, 협력 놀이보다 혼자 노는 경우가 많음

표정·몸짓 이해 부족
상대방의 감정이나 비언어적 신호(표정, 손짓)를 이해하지 못합니다.

 


2. 언어 및 의사소통 문제

 


말이 늦게 트이거나 아예 말이 없음
일반적으로 만 2세 이전에 의미 있는 단어를 쓰지 않거나, 3세가 되어도 문장 형성이 어려움

반복적 말하기(반향어)
누군가의 말을 그대로 따라 하거나 TV에서 들은 대사를 반복

상황에 맞지 않는 말 사용
의사소통의 목적이 아니라 단순히 단어를 반복하거나 맥락과 어긋난 대화를 시도

자기 표현의 부족
물건을 요구하거나 기분을 표현하는 데 말을 잘 활용하지 못함

 



3. 행동의 반복성과 고정성

 


같은 행동 반복
손을 흔들거나, 빙빙 돌기, 점프, 물건 줄 세우기 등 특정 행동을 반복함

일정한 루틴 고수
생활 속 일정한 순서나 환경이 바뀌면 불안해하거나 과도하게 반응

감각에 대한 과민 또는 둔감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특정 촉감 또는 소리를 과도하게 좋아하거나 싫어함

특정 물체에 집착
바퀴, 끈, 빛나는 물체 등 특정한 사물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임

 

 

아이 자폐 스펙트럼 특징 증상 원인



4. 인지 및 학습 특성

 


정상 또는 높은 지능을 가진 자폐 아동도 존재
(예: 아스퍼거 증후군)
단, 대부분의 경우에는 특정 분야에 편중된 지능을 보이기도 함

문제 해결이나 창의적 사고에는 제한
특히 사회적 사고 능력, 협력 능력에서 어려움을 겪음

 



5. 기타 동반 질환 및 증상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수면 장애

불안장애, 강박장애

지적장애(경우에 따라)

이러한 증상은 아이마다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이런 행동을 보인다"고 해서 자폐라고 단정지을 수 없습니다. 반드시 전문가의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자폐의 원인: 왜 자폐가 생기는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복합적인 요인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1. 유전적 요인


가족력 존재
형제자매 중 자폐아동이 있는 경우, 발생 확률이 일반보다 20~50배 높습니다.

유전자 이상
특정 유전자(예: SHANK3, MECP2, CHD8 등)의 돌연변이가 자폐와 관련 있음이 밝혀지고 있음



2. 신경 발달 이상

 


자폐 아동의 경우, 뇌의 전두엽, 측두엽, 소뇌, 편도체 등의 구조적·기능적 이상이 관찰됨

뇌에서 신경세포 간의 연결 및 시냅스 기능에 문제가 생겨 사회적 자극을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음



3. 환경적 요인

 


산전 및 출산 전후 환경
임신 중 감염, 고령 임신, 저체중 출산, 출산 합병증 등이 관련될 수 있음

독성 물질 노출
대기오염, 중금속, 농약, 플라스틱 성분(BPA) 등 환경호르몬과의 관련성도 일부 연구에서 제기됨




4. 기타 요인

 


조산, 산모의 당뇨, 자가면역 질환 등도 일부 관련 요인으로 논의됨

뇌 발달 시기의 미세한 이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단순한 ‘문제행동’이 아니라 신경 발달 특성의 하나로 이해해야 합니다. 아이의 자폐적 특성을 조기에 인식하고 적절한 지원을 받는다면, 자기 표현 능력, 사회성, 정서 안정 등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틀렸다’가 아닌 ‘다르다’는 관점에서 아이를 바라보고, 아이가 세상을 안전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이해와 존중의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입니다. 자폐 아동도 각자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 잠재력을 꽃피우기 위한 첫걸음은 부모와 보호자의 따뜻한 수용입니다.

반응형